홍범도 장군의 흉상 이전 논란을 두고 연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가 홍 장군이 많은 독립군이 희생된 1921년 자유시 참변과 연관돼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안은 역사 논쟁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, 임성재 기자! <br /> <br />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, 정리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육군사관학교에서 '교내 기념물 재정비 사업'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 대상에는 지난 2018년 3·1절 99돌을 맞아 육사 교내에 설립된 홍범도 장군 등 5명의 흉상이 포함됐는데요, <br /> <br />애초 육사는 생도들이 학습하는 건물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군·광복군 영웅 흉상은 위치의 적절성이나 국난 극복의 역사가 특정 시기에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홍범도 장군의 소련 공산당 입당 경력을 콕 집어 언급하면서 논란이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종섭 / 국방부 장관 (지난 25일) : (육군사관학교가) 북한을 대상으로 해서 전쟁을 억제하고 전시에 이기기 위해서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곳인데 공산주의 경력이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되느냐….] <br /> <br />이후 지난 1998년 국방부 현관 앞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의 흉상으로까지 논란의 불씨가 옮겨갔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는 '공산당 입당' 경력 등을 이유로 국방부 현관 앞에 있는 홍 장군의 흉상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때아닌 '이념 논쟁'으로 번진 모습이네요, '이전 반대' 목소리가 만만치 않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방부는 흉상 이전이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독립운동의 성지인 독립기념관에 모시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해 국가보훈부와 독립기념관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, 육사 총동창회도 입장을 내고 6·25전쟁을 일으키고 사주한 북한군, 중공군, 소련군 등에 종사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한 사실이 분명히 확인된 인물이 포함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야권과 여권 일부, 독립유공자 후손 단체인 광복회에서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찬 광복회장은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스스로 판단할 능력이 없으면 장관 자리에서 퇴진하는 것이 조국을 위하는 길임을 충고한다고까지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민족적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2913040801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